본문 바로가기

정보와 생활/채용/취업 뉴스

'학력 인플레'가 문제다 ‥ 대졸 실력 비해 눈만 높아져

사용자 삽입 이미지
최영원씨(31·서울 방배동)는 2002년 경기 지역의 한 4년제 대학 경제학과를 나왔다.
하지만 단순한 대학 졸업장만으로는 변변한 일자리를 찾기 어렵다는 것을 깨닫고 지난 3월에야 서울시가 운영 중인 1년 과정의 직업학교(서울종합직업전문학교) 건축환경설비과에 다시 입학했다.
이곳에서 빌딩과 상가,아파트 단지 등 대규모 시설의 냉난방 설비 및 공조기 관련 기술을 익힌 뒤 평생 직업을 찾을 생각이다.
최씨처럼 대학을 졸업하고도 직장을 제대로 구하지 못한 청년 실업자가 속출하고 있는 가운데 수많은 중소기업들은 인력난을 호소하는 일자리 미스매치(불일치)가 심각하다.

교육인적자원부에 따르면 국내 고교생들의 대학 진학률(전문대 포함)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
2006년 기준 82.1%로 미국(63.6%),일본(49.1%)보다 월등히 높다.
270만명을 넘어선 대학생 수는 1980년(56만여명) 대비 5배,1990년(136만여명)에 비해서도 2배 가까이 늘었다.
하지만 대졸자들이 선호하는 대기업 일자리는 계속 줄어드는 추세다.
종업원 300인 이상 대기업 일자리는 1995년 251만개에서 2005년 180만개로 71만개나 감소했다.
같은 기간에 49인 이하 소기업에선 일자리가 151만개 늘었다.
문제는 대졸자들이 소기업 취업을 외면,기능인력이나 사무인력 부족에 시달리는 소기업들이 많다는 점이다.

지난해 노동부 조사에 따르면 5인 이상 사업체의 부족 인력은 20만5000명으로 이 중 19만7000명(96%)이 중소기업에서 발생했다.
대졸자들이 눈높이를 낮추지 않으면 심각한 청년 전문대졸 이상인 20~29세의 실업률(6.7%)을 낮출 수 없다.
중소기업들은 고졸이면 할 수 있는 일을 대졸자에게 시키는 '학력 과잉'의 피해를 입고 있다.
원하는 인력은 뽑지 못하면서 뽑은 인력에 과도한 대우를 해주다 보니 경쟁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학생들의 수준도 문제다.
인천 남동공단의 한 중소기업체 대표는 "관리직 대졸자를 채용하기 위해 5명을 면접했지만 기본적인 소양이나 업무 능력을 갖춘 지원자가 없었다"고 하소연했다.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의 경쟁력조사 중 '대학교육의 경쟁사회 요구 부합도' 항목에서 한국은 2004년부터 2006년까지 3년 연속 최하위권인 50위권에 머물렀다.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대학의 학생선발 기준 논란도 '대학의 자율성 침해'에서 비롯됐지만 뚜렷한 진로 설정 없는 고등교육 선호도 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주무현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은 "과잉 학력 문제를 풀려면 합리적 진로 선택이 이뤄지는 선진국처럼 진로 교육을 획기적으로 강화하는 게 급선무"라고 말했다.
김대일 서울대 교수(경제학)는 "청년 실업의 관점에서는 낮은 대학 교육의 질이 문제"라며 "품질이 좋으면 수요는 늘게 마련"이라고 지적했다.

김수언/주용석 기자 indepth@hankyung.com (한국경제신문)
 
사용자 삽입 이미지
 
===================================
눈높이의 문제 뿐 아니라 정치적, 교육적인 문제와
나날이 새로워지는 기술과 자동화 등으로 인해 기업에서도 사람에 대한 인식이 바뀌게 되고..
여러가지 복합적인 문제가 취업난이라는 이름으로 보이게 되네요.. 개인적으로는 더 큰 문제는 노인대책...
이와 함께 맞물리는 저출산..
앞 날을 생각하면 이것저것 다 문제투성인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