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와 생활 (160) 썸네일형 리스트형 ‘김과장 연봉은 얼마’ 클릭하면 나온다 - 연봉정보 [동아일보] 《노동부가 한국노동연구원에 의뢰해 개발한 임금정보시스템 홈페이지(www.wage.go.kr)에 들어가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고 회원 가입을 마치면 누구나 이 시스템이 제공하는 업종별 직급별 평균 임금정보를 볼 수 있다. SK텔레콤 과장급에 해당하는 연봉(상여금 포함, 시간외수당은 제외)을 알아봤다. 검색 창에서 산업분류는 통신업을, 직업은 일반사무 관련 종사자를 클릭했다. 연령은 35∼39세를 선택했다. 평균 연봉이 4513만 원이라는 검색결과가 나왔다. 하위 10%는 3178만 원, 상위 10%는 5707만 원이라는 결과도 볼 수 있다. SK텔레콤 과장급이 실제로 받는 평균급여는 6000만 원 선. SK텔레콤 직원들의 임금은 같은 업종의 비슷한 직급에서 최상위권임을 알 수 있다.》 현재 시험.. 2008 HR 트랜드 2008 HR 트렌드 예측 1. 사람들의 생활에 있서나 일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가정과 삶에 대한 관심은 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따라서 "일하기 위해 살기(live to work)" 보다는 "살기 위해 일한다(work to live)" 는 정서가 확대될 것이다. 2. 사람들은 자신의 삶에 대한 관심사항을 추구하기 위해 근무조건의 유연성을 증대시키기를 요구할 것이다. 3. 이중 직업을 갖고 있는 부부(Dual-Career Couple)들은 오늘날 그들의 가정생활에서 요구되는 희생을 하려고 하지 않을 것이며, 더 많은 사람들이(여자뿐 아니라) 이러한 전통적인 직업에서 자발적으로 이탈함으로써 결혼제도의 속박에서 벗어나려 할 것이다. 4. 가정이 사회의 중심으로 되돌아 올 것이다. 일은 문화적 연결고리로서.. 평판조회(Reference Check) 방법? 평판조회(Reference Check) 좋은 인재를 선발해 내는 것은 채용분야를 담당하고 있는 인사 담당자들의 가장 중요한 과제다. 실제 기업에서는 훌륭한 인재 선발을 위해 헤드헌터를 활용하기도 하고, 면접을 강화하기도 하며, 서류전형에서의 가이드를 달리하는 등 많은 시도와 공을 들이고 있다. 여러 관문을 통과해 어렵게 채용한 인재가 사내에 문제를 일으키거나 얼마 있지 않아 또 다시 전직을 하겠다고 나설 때 아마도 채용을 맡고 있는 사람은 ‘과연 현재의 채용 과정을 통해 옥석을 가릴 수 있겠는가’하는 회의가 들 수도 있을 것이다. 이렇듯 돌다리도 두들겨 건너는 심정으로 채용에 대한 신중을 기하는 중에 꼭 알아야 하는 과정이 바로 "평판조회" 관문이다. 신입사원 채용과 달리 경력 사원 채용 시에는 반드시 .. 마케팅 4P로 본 인재확보 전략(LGERI 자료) LGERI의 윤언철 인사조직그룹 선임연구원님의 자료입니다. 업무에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이미 채용은 채용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 계시죠? 채용은 하나의 서비스부서이며, 홍보부서이고, 영업부서입니다. IR부서이기도 하고.. 결론적으로는 지원자들이 회사를 바라보는 시각에 따라 채용의 업무가 하나의 마케팅역할을 하는 것이고, 이러한 부분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기업의 이미지는 상반된 결과를 가져오는 거라 생각됩니다. 비싼 돈들여서 기업이미지 광고 내는 것보다 이런 고객만족과 서비스 마인드가 쌓인다면... CJ역량면접시스템 교육자료입니다. 예전 어느 세미나에서 CJ의 역량면접시스템에 대한 발표자료입니다. 한 1년 반정도 지난 자료이긴 하지만 아직까지 역량면접에 대한 정의를 내리지 못한 많은 기업들이 있을 것 같아 올립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역량 개발 오늘날처럼 국제화되고 경쟁이 치열한 비즈니스 세계에서 기업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최첨단의 기술력과 조직내부의 기술이나 단순한 기능을 뛰어넘는 노하우를 포함한 종합적인 능력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요소를 극대화하는 능력은 조직 구성원의 능력에서 좌우되는데 이러한 차원에서 핵심역량(Core Competency)은 조직구성원의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중요시 되고 있다. 월간 산업교육에서는 금번에 "핵심역량 개발 전략"이라는 주제아래 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방안과 그에 따를는 기업체 사례들을 특별기획 하였다. PART 1 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방안 1. 핵심역량 개발전략 - 허일강 대표(학습과 혁신) 2. 왜 역량중심의 HRD 인가? - 정재창 대표 컨설턴트(PSI컨설팅) PART 2 국내 기업의 핵심역량 .. 네이버나 구글이 좋은 기업이 되어야 하는 이유 - 김중태(IT컬럼니스트, www.dal.co.kr) 국내 IT기업을 비판하는 이유는 좋은 기업이 되기를 바라기 때문이다 나는 적지 않은 글을 통해 국내 IT기업이 고쳐야 할 점에 대해 비판하며 개선을 요구해왔다. 내가 국내 IT기업을 비판 또는 비난하는 이유는 이들 기업이 좋은 기업으로 발전하기를 진심으로 바라기 때문이다. 좋은 기업이란 무엇인가? 상식적인 선에서 사람들에게 편리함과 행복을 주면서 그 대가로 돈을 버는 기업이다. 반면 돈을 벌기 위해 사람들을 불편하고 불행하게 만드는 기업은 나쁜 기업이다. 삼풍백화점 이용자들이 바라는 것은 삼풍백화점이 더 많은 물건을 싸고 편리하게 구입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하지만 삼풍백화점은 나쁜 기업이었다. 부실로 건물을 지었을 뿐 아니라, 사람들이 건물 붕.. 2007년의 웹2.0 동향 및 산업 전망. (02) 웹2.0 기업의 무서운 성장 - 김중태(IT컬럼니스트, www.dal.co.kr) (02) 살아남은 기업들을 가리키는 대명사인 웹2.0 기업의 무서운 성장 2006년을 뒤흔든 '웹2.0'은 차세대웹을 경제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며 만든 말이다. 닷컴버블 붕괴 이후 인터넷 기업은 아마존, 이베이, 구글처럼 살아남은 기업과 넷스케이프, 라이코스처럼 소멸된 기업으로 구분되었다. 사람들은 닷컴버블에서 살아남은 기업과 죽은 기업의 차이를 알아내고자 했고, 두 종류 기업의 차이점을 파악하고자 했다. 일단 웹 초창기 시절의 기업과 구분하기 위해 살아남은 기업을 가리키는 대명사가 필요했다. 이때 오라일리 미디어(O'Reilly Media)의 부사장인 데일 도허티(Dale Dougherty)가 닷컴붕괴 이후 살아남은 회사들의 공통점과 웹에 일종의 전환..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20 다음